1-3 / 변수와 상수
변수와 상수는 어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의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변수의 값을 바꿀수 있는 "변수"와
한번 정의한 값은 바꿀수 없는 "상수"가 있다.
자바의 상수는 접근제어자 final로 선언한다
상수에는 재정의 할수 없기 때문에 새로 값을 대입하면 에러가 뜬다.
접근제어자 + 자료형 + 변수명
자바에서는 CamelCase(캐멀케이스)로 이름을 선언하는 것을 de facto standard(데 팍토 스탠다드)로 하고 있다
: 첫번째는 소문자 그 다음 단어 첫자 대문자 ex) finalDataNumber
1-4 / 자료형 - 기본자료형
자료형에는 Primitive Type(기본자료형) 과 Reference Type(참조자료형)이 있다
기본자료형(Primitive Type / 프리미티브 타입)
1.숫자
-short : 2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정수형 자료형 -32768 ~ 32767 까지 표현가능
-int : 4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정수형 자료형 약 -20억 ~ +20억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
-long : 8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정수형 자료형
-float : 소수점자리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 숫자뒤에 대문자F가 붙어야 소수점 인정
-double : 소수점자리도 좀더 큰 범위를 표현할수 있는 자료형. 더블은 F가 안붙어도 소수점 인정
+ 자료형이름(첫글자 대문자로).MAX_VALUE 하면 해당 자료형이 표현할 수 있는 맥스값을 알려준다
반대로 최소값은 MIN_VALUE 사용. int경우는 Integer로 해야 됨.
ex) Double.MAX_VALUE
2.문자
-char : 문자 하나를 표현하는 자료형
3.논리
-boolean : 거짓(false) 또는 참(true)을 표현하는 자료형
4.바이트
모든데이터들은 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다
ex) byte data = 'd' -> 100 이 나오는데 d가 아스키코드에서 십진법으로 100이기 때문
1-5 / 자료형 - 참조 자료형, 배열, 코딩 실력 향상 꿀팁
참조자료형 (Reference Type / 레퍼런스 타입)
기본자료형이 아닌 모든 것 (이건 자바에서의 특징)
java의 인스턴스 객체를 가르킬 수 있는 자료형
클래스로 정의 된 타입을 쓸 때는 다 참조자료형이다.
-String : (첫글자 대문자) 클래스를 이용한 참조자료형
-int[] : int배열. int는 기본자료형이지만 이 int를 여러개 담은 배열은 참조자료형에 해당한다.
int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료형을 배열의 형태로 만들수 있다.
int[] intArray = new int[]{1,2,3,4,5};
System.out.println(intArray);
아래 intArray에서 alt + Enter하고 다시 Enter를 하면 코드가 아래처럼 바뀐다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intArray));
데이터의 몇번째, 순번을 의미하는 index. index는 0번부터 시작한다.
int[] intArray = new int[]{1,2,3,4,5};
int[] intEmptyArray = new int[5];
위는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가 들어간 5칸짜리 배열을 만들었지만
위와 달리 아래는 아무 데이터 없이 5칸짜리의 배열만 만든것
데이터를 선언해주지 않으면 해당 자료형의 디폴트값을 넣어준다.
int[] intEmptyArray = new int[5];
//[0, 0, 0, 0, 0]
참조자료형 같은 경우는 기본값이 없기때문에 아무것도 없다는 걸 표현하는 null로 표현
String[] stringEmptyArray = new String[4];
//[null, null, null, null]
배열 데이터 대입
String[] seasons = new String[]{"봄","여름","가을","겨울"};
String[] seasons = {"봄","여름","가을","겨울"};
둘다 가능
코드를 잘짜려면?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IDE가 쳐주는 노랑 형광펜 빨간줄을 무시하지 말고 다 읽어보면서 추천해주는 대로 수정한다면 더 좋은 코드 깔끔한 코드 그리고 글로벌적으로 모든 개발자들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스탠다드에 맞는 코드가 될 것이다.
1-6 / 자료형 퀴즈
+ Tip |
* Alt + Enter : 코드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 해당 오류 위에 커서를 놓고 Alt+Enter를 누르면 문제에 대한 수정 제안 목록이 표시 * de facto standard(데 팍토 스탠다드/사실상 표준) : 공인된 것은 아니나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하는 사실상의 표준 * 배열.length : 배열의 길이 출력 * control(ctrl)을 누르고 String에 올리면 커서가 손가락 형태로 바뀐걸 볼 수 있는데 그상태로 눌러주면 String이 선언된 구현체로 넘어가서 볼수있음 * 실무에서는 Array를 직접 쓰는 일은 별로 없고 가변적인 배열을 나타내는 Collection 중 하나인 ArrayList형을 더 많이 사용한다. * 배열의 크기가 얼만지 모르겠는데 배열 마지막 값을 출력하고 싶다면 배열[배열.length -1] 하면 마지막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왜 -1인가 하면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 ex ) intArray[intArray.length-1] * 자바는 문자는 싱글 쿼테이션!! 문자열은 더블 쿼테이션!! * 문자랑 숫자랑 더하면 문자가 아스키코드상의 숫자로 변해서 더해짐. 둘을 더하는게 아니라 바로 출력하려면 System.out.println(c + "" + i); 등을 이용 * \n 은 줄을 바꿈 |
'Experience > 항해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 - 토이프로젝트 IDEA (2) | 2022.10.24 |
---|---|
000 - Pre-Onboarding 기간 추가 (0) | 2022.10.20 |
000 - Java 문법 뽀개기 1주차 1-1 ~ 1-2 (기본세팅) (0) | 2022.10.10 |
000 - 웹개발 종합반 1차 완강! (0) | 2022.10.09 |
000 - 웹개발 종합반 5주차 (AWS) (1) | 202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