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웹 동작 방식 이해하기

 

IP주소 란? ) 

거대한 네트워크망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 주소.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송/수신은 이 주소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브라우저 란? ) 

웹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등의 컨테츠를 송/수신하고 표현해주는 소프트웨어.

브라우저가 하는 가장 큰일 또한 컨텐츠 송/수신, 컨텐츠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DNS (Domain Name Server) 란? )

요청을 받아줄 서버의 ip주소와 같은 것들과 도메인 이름을 중개해주는 서버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DNS.

그래서 우리가 사이트를 찾아 들어갈때 ip주소를 쓰는 것이 아니라 사이트 이름의 주소를 쓰는게 가능한 것이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란? )

서버 개발자 입장에서 요청을 받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짜야할 것이다. 그런데 요청을 형식없이 해온다면 그걸 과연 다 처리할 수 있을까? 불가능 하기 때문에 요청을 하는 메세지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이런 형식에 대한 약속을 하게 되었다. 

메세지의 송/수신자가 서로 필요한 요청과 응답을 할 수 있도록 미리 규약을 정해 놓은걸 "프로토콜" 이라고 하며, 웹 상에서는 HTTP 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고 있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란? )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정의한 것으로 서버의 창구라 불리운다.

또한 웹 API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와 웹 리소스 사이의 게이트 웨이라 할 수 있다. 

개발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도록 API를 표시하거나 생성해야한다.

감이 잘 안온다면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간에 약속한 방식으로 요청하면 요청에 따라 결정되어 있는 응답을 돌려주는 약속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듯하다.

 

 


Interface 란? )

서로 다른 두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 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이다. 즉 사용자가 기기를 쉽게 동작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컴퓨팅에서 컴퓨팅 시스템 끼리 정보를 교환하는 경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컴퓨터 하드웨어, 주변기기, 사람간에도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복합적으로 섞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RESTful API 란? ) 

  •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지침으로 만들어졌는데 REST시반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대규모의 고성능 통신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 RESTful API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를 REST API라고 한다. 그리고 REST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 웹 서비스라고 한다. 개발한 서버에 API가 적절하게 http를 준수하며 잘 설계 되어 있으면 RESTful 하게 설계 되어 있다.

 

-고유 리소스 식별자 

서버는 고유한 리소스 식별자로 각 리소스를 식별하는 데 REST 서비스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URL을 사용해 리소스 식별을 수행한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리소스에 대한 경로를 지정한다. url은 요청 엔드포인트라고도 하며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사항을 서버에 명확하게 지정한다.

 

-HTTP Method

HTTP 메소드는 리소스에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서버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다음 4가지가 일반적이다

GET 클라이언트는 Get을 사용해 서버의 지정된 URL에 있는 리소스에 접근 한다. 
Get요청을 캐싱하고 RESTful API요청에 파라미터를 넣어 전송하여 전송 전 데이터를 필터링하도록 서버에 지시할 수 있다.
POST 클라이언트는 POST를 이용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는 요청과 함께 데이터 표현이 포함된다. 동일한 POST 요청을 여러번 전송하면 동일한 리소스를 여러번 생성하는 부작용이 있다.
PUT 클라이언트는 PUT을 이용하여 기존 리소스를 업데이트 한다. POST와 달리, RESTful 웹 서비스에서 동일한 PUT 요청을 여러번 전송해도 결과는 동일하다.
DELETE 지정된 리소스를 삭제한다. 

 

 

 

RESTful API란 무엇인가? - RESTful API 초보자 가이드 - AWS

Amazon API Gateway는 어떤 규모에서든 개발자가 API를 손쉽게 생성, 게시, 유지 관리, 모니터링 및 보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API Gateway를 사용하면 실시간 양방향 통신 애

aws.amazon.com


데이터베이스 (DataBase)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 보다는 효율적으로 성능 좋게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 사용한다. 

 

 


 

결론적으로 서버 개발에서 많이 하는 일은 새로운 정보와 기존의 정보를 가지고 정해진 로직을 수행하는 일이다.

 

 

+ Recent posts